매크로 탑다운

주간 S&P500 차트스톰 - 2025년 4월 13일

트렌트머니메이킹머신 2025. 4. 13. 14:37
반응형


주간 S&P500 차트스톰 - 2025년 4월 13일

이번 주 주제: 기술적 분석, 하락폭 점검, 경기 침체와 약세장 위험, 재정 요인, 관세 정책 변화

최신 주간 S&P500 #차트스톰에 오신 걸 환영

이번 주 차트에서 얻은 주요 인사이트:

- 지난주 주식 시장은 강한 반등과 함께 기술적 호재를 보였습니다.
- 하지만 여전히 몇 가지 기술적 장벽과 시험대가 남아 있습니다.
- 이미 시장에 상당한 타격이 가해진 상황이기도 합니다.
- 앞으로 주식 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경기 침체 리스크입니다.
- 미국 주식 시장은 대대적인 구조적 변화의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관세 정책의 미세 조정과 최악의 우려가 잦아들면서 주식 시장은 위기에서 한숨 돌렸습니다. 흥미롭게도 이는 시장이 기술적으로 반등 준비를 마친 시점—지지선 확보, 극단적 시장 심리, 과매도 신호—과 맞물렸습니다. 하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질문들이 많고,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강세장이 주도권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자칫 강세장 함정이나 약세장 속 일시적 반등에 휩쓸릴 수 있으니, 이 변덕스러운 시장에 너무 몰두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 기술적 분석**: 정말 격동의 한 주, 아니 한 해였습니다. 일일 종가 기준으로 약 5,000포인트에서 반등했고, 50일 이동평균 기반 시장 폭도 과매도 구간에서 회복했습니다. 이 정도면 단기적으로 강세 분위기를 띠기에 충분합니다. 하지만 이런 급격한 반등과 변동성은 약세장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입니다(생각해볼 키워드: 약세장 반등).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폰 관세 면제 같은 정책 변화가 있었지만, 이걸로 시장이 다시 강세장 궤도에 올라탄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이미 여러 측면에서 손상이 가해졌기 때문이죠. 기술적으로 중요한 기준점은 하락 추세의 50일 및 200일 이동평균, 그리고 5,600포인트 부근의 지지/저항 구간입니다. 이 구간을 뚫으면 약세론자들도 긴장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출처: MarketCharts*

**2. 하락폭 점검**: 일일 종가 기준으로 고점 대비 하락폭은 약 20%에 살짝 못 미쳤습니다. 이 정도 하락은 비교적 자주 볼 수 있는 수준입니다(30~40% 이상의 큰 하락은 드물지만, 평균적으로 10년에 한 번 정도는 나타납니다)


*출처: Topdown Charts*

**3. 대규모 하락 사례**: 시장이 15% 이상 하락한 해(분석 기간 동안 16번)를 보면, 연말에 상승으로 마감한 경우는 단 3번에 불과했습니다…

오호...

반응형